1989년 초에 일본 오사카 법인으로 발령을 받아 근무하게 되었다. 중학교 교사였던 안사라도 사직하고 두 아이와 함께 오사카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일본 현지에서 생활하며 사고방식과 생활상을 직접 경험할 기회였다.
그 당시에 한국 사람이 일본에서 집을 구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일본 사람들이 한국 사람을 믿지 못해서 그랬던 것 같다. 어렵게 오사카시와 사카이시를 가르는 야마도 강가에 집을 구하였다. 그곳은 아이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 학교가 있었다. 건국 소학교라고 하는 한국계 초등학교였지만, 교포 선생님들의 한국어 수준이 뒷받침하지 못해 국어만 한국어이고 일본교육시스템으로 초등교육을 하고 있었다.
큰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 작은아이가 유치원생이었다. 내 기억에 둘째는 유치원에서 일 년 동안 줄서기 교육만 받은 것 같다. 이러한 교육이 일본인들의 질서의식 개념을 확실하게 각인시키는 듯하였다. 더 나아가 일본인들의 법 개념의 기본이라 생각된다.
백화점이나 상점을 다녀보면 아주 작은 하자라도 표기해 놓고 아주 싸게 팔고 있었다. 일본 거래선의 품질 검사가 까다로웠던 것이 이해가 되었다. 과거, 검사할 때 사소한 불량에 대해 까다롭게 지적하는 것에 불만을 표시하던 자신이 부끄러웠다.
한국의 수출 제품이 일본 시장에서 팔리는 모습을 보고 ‘품질’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 경험은 귀국하고서 내가 맡은 부서의 제품 품질과 업무 품질을 향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약 30개월 동안 오사카에서 근무하고 나서 서울 본사의 필요로 서울로 귀국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