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출발점인 라 파밀리아(La Famiglia) 컬렉션을 발표했다.
과감한 섹시함, 화려함, 그리고 대담함을 선보이는 이번 컬렉션은 구찌다움(Gucciness)을 탐구하며 브랜드를 하나의 정신이자 공유된 미학적 언어로 표현한다.
이번 컬렉션은 내년 2월 뎀나의 첫 번째 ‘구찌’ 쇼로 이어질 예정이며 그가 ‘구찌’에서 펼쳐갈 비전을 위한 미학적 토대를 정의한다.
이번 컬렉션은 구찌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출발점이다. 과감한 섹시함, 화려함, 그리고 대담함. 라 파밀리아는 구찌다움을 탐구하며 브랜드를 하나의 정신이자 공유된 미학적 언어로 표현한다.
이번 컬렉션은 특히 포토그래퍼 캐서린 오피가 다양한 인물들을 확장된 ‘구찌’ 가족으로 포착한 포트레이트를 통해 하우스의 코드를 재해석한다. 독창적인 개성과 뚜렷한 미학적 태도를 지닌 이 인물들은 ‘구찌’의 페르소나를 구현하며 하우스의 유산을 새롭게 드러낸다.
룩북은 모노그램이 새겨진 여행용 트렁크 라르케티포로 시작된다. 이는 발리제리아에서 출발한 ‘구찌’의 기원을 상징한다. 이어 등장하는 인카차타는 1960년대 풍의 리틀 레드 코트를 통해 그녀의 열정적인 기질을 드러낸다.
라 봄바의 변덕스러운 고양이 같은 매력은 그녀의 스트라이프를 통해 표현되며 라 카티바는 마치 팜므파탈을 연상케 하는 절제된 우아함을 구현한다.
미스 아페르티보는 인생의 가장 즐거운 순간을 보내는데 몰두하고 린플루엔세르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패션 애호가를 대표한다. 라 메체나테, 라 콘테사, 슈라, 그리고 프리마돈나는 이탈리아적 우아함을 발산한다. 프린치피노와 프린치페사는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다른 매력을 드러내며 모두의 시선을 집중시킨다.
이탈리아 특유의 무심한 듯한 세련미, 스프레차투라의 무드가 룩 전반에 스며 있다. 슬링백 키튼 힐과 뒷굽을 밟아 신는 부드러운 레더 소재의 뮬은 즉흥적이면서도 완벽히 계산된 무심함의 미학을 구현한다.
‘구찌’의 유산이 담긴 시그니처 아이콘들은 새롭게 되살아난다. 78년전 탄생해 오늘날에도 여전히 하우스의 혁신을 상징하는 구찌 뱀부 1947 핸드백은 새로운 비율로 재해석됐으며 1953년부터 하우스의 아이콘으로 자리한 구찌 홀스빗 로퍼 역시 다시금 선보인다.
구찌 플로라 모티브는 익숙한 모습은 물론 야성적인 변주로도 등장한다. 창립자 구찌오 구찌의 이니셜을 상징하는 GG 모노그램은 아이웨어부터 로퍼까지, 머리부터 발 끝까지 아우르며 올 오어 낫띵의 미학을 드러낸다.
실루엣은 화려함과 절제의 미학을 오간다. 깃털 장식의 오페라 코트와 하이 주얼리가 보여주는 맥시멀리스트의 화려함부터 몸을 타고 흐르는 스타킹 의상이 드러내는 네오-미니멀리스트의 절제된 관능미까지 아우른다.
즐거움을 위한 옷 입기는 한층 강조되고 글래머러스한 감각은 남성복으로 확장된다. 투명한 보디콘 세트와 세련된 블랙-타이 스윔웨어에 이브닝웨어의 우아함이 구현되며 이는 라 돌체 비타의 새로운 해석이다.
라 파밀리아는 구찌의 스토리텔링으로의 회기를 상징한다. 과거를 통해 미래로 나아가며 이는 내년 2월 열릴 뎀나의 첫 번째 구찌 쇼로 이어질 그가 구찌에서 펼쳐갈 비전을 위한 미학적 토대를 정의한다.